호주 정부 이민법 강화로 유학생 수 급감
신문에 따르면 호주 정부의 이민법 강화에다 호주달러의 초강세 현상, 해외 유학생에 대한 집단폭행 사건 등으로 호주의 주수입원 중 하나인 해외 유학생이 크게 줄었다.
멜버른에서 해외 유학생 대상 사설학원을 운영하는 슈루티 나르군카르 씨는 “2009년 이전까지만 해도 재학생 수가 1천350명에 달했는데 지금은 700명에 불과하다”며 “호주 정부의 이민법 강화 이후 유학생 수가 급감했다”고 말했다.
나르군카르 씨의 학원은 호주에서 규모가 가장 큰 8개 유학생 대상 사설학원 중 하나다.
나르군카르 씨는 원래 호주의 이민법 개정은 비윤리적 유학생 공급업자들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됐지만, 결과적으로는 모든 유학생들의 진입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성토했다.
그는 수많은 유학생 대상 사설학원들이 문을 닫거나 인수합병됐으며 호주의 유학생 대상 사설학원업계는 고사의 위기에 처해있다고 덧붙였다.
한인이 운영하는 많은 사설 유학원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드니에 있는 한 한인 사설 유학원 원장은 “이민법 강화 이후 유학이나 어학 연수를 위해 유학원에 등록하는 학생 수가 30% 이상 급감했다”며 “말 그대로 고사 위기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인도 유학생 집단폭행 사건에 대한 해외 언론의 부정적 보도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호주달러 초강세 현상도 유학생 수가 감소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이 같은 현상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해외 이민자들이 호주인들의 일자리를 빼앗아갈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마틴 퍼거슨 호주 관광장관은 “이미 관광업과 접객업 분야에서는 3만6천개의 일손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며 “일손이 부족해 채우지 못하는 일자리는 오는 2015년이 되면 5만6천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클 나이트 전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가 지난해 발의한 이른바 ‘나이트 보고서(Knight Review)’는 학생 비자 요건을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크리스 보웬 이민부 장관은 호주 정부가 ‘나이트 보고서’에서 제시한 몇가지 권고안을 채택하려 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구체적 실행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호주 유학생 지출 급감..이민법 강화 탓
호주 시드니에서 한국 유학생 이민법강화 반대시위, 호주 정부 “수개월내 대책 제시할 것”
PYH2010061201690009300_P2.jpg (시드니=연합뉴스) 이경욱 특파원 = 호주의 유학생 지출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 미용 등 단순기술직에 대한 영주권 발급 제한 등 이민법이 대폭 강화된데다 올들어 호주달러화가 초강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호주통계청에 따르면 2010회계연도(2010년 7월~2011년 6월) 유학생 지출액은 164억호주달러(18조8천억원상당)로 직전 회계연도에 비해 10%가까이 줄어들었다고 언론들이 13일 전했다.
영어어학원은 물론이고 요리 등 단순기술을 가르치는 사설학원과 대학 등 전 분야에서 유학생 등록 및 학생비자 신청 건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내 영어어학원 대표기구 잉글리시오스트레일리아의 수 블런덜은 “올들어 유학생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면서 유학생 지출규모도 이전보다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호주 교육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유학지로서 호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학대행업체 나비타스 최고재무책임자(CFO) 브라이스 휴튼은 “연방정부의 불안정한 유학생 관련 이민정책이 유학생 지출 급감의 주 요인”이라며 “최근들어서는 호주달러화 초강세가 호주 유학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호주국제교육협회(IEAA) 스티븐 코널리는 “호주 이민당국이 유학생 유치에 대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지 못하고 있어 호주 교육분야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유학업계는 이민법 강화, 호주달러화 초강세 등으로 호주 유학을 고려했던 외국 학생들이 유학지를 미국 등지로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이민시민부는 “수개월내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정부의 대응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